본문 바로가기

백앤드 개발/Infra

[AWS] AWS Certified Practioner 합격 후기 (비전공, 독학)

 

 

 

1. 시험 지원 동기:

작년 7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초청으로

"코로나 이후, 사례로 보는 트렌드 리포트" 라는 오프라인 세미나에 참석하게 됐다.

코로나 이후 시장, 문화 및 경제 전망과 이에 발 맞춘 네이버의 사업계획을 듣는 세미나였다.

 

여러가지 흥미로운 주제가 많았는데 그 중 가장 내 이목을 끌었던 것은 클라우드 시장의 가능성이였다.

클라우드 사업에 관심이 가지게 됐고 클라우드 사업의 선두주자인 AWS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했다.

 

 

2. 접수 방법: m.blog.naver.com/sehyunfa/221870132290

 

AWS 자격증 시험 접수하기

1. https://www.aws.training/certification로 접속합니다.AWS 자격증 사이트 ID로 로그인합니다. I...

blog.naver.com

 

 

 

3. 시험 난이도: 

비전공자고 서버 운영경험, 네트워크 공부 경험없다.

일주일 정도 준비했고 체감 공부량은 컴활1급 필기 기준 절반정도?

시험 난이도는 '중'으로 각 서비스의 개념만 안다면 쉽게 넘어갈 수 있는 수준이다.

 

 

 

4. 공부방법:

생활코딩 듣기 ->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영상 보기 -> 백서 -> 덤프 문제 풀이

 

1) 생활코딩 강좌듣기: opentutorials.org/course/2717

 

아마존 웹서비스 (AWS) - 생활코딩

수업의 목적 본 수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아마존 웹서비스의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수업입니다.  선행지식 본 수업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약간의 지식을 필

opentutorials.org

공부를 시작할 때 무조건 생활코딩으로 듣고 따라하는 걸 추천한다.

AWS를 공부하다보면 특히 비전공자들은 생소한 단어들을 많이 접하게 될텐데

튜토리얼을 따라 서버를 직접 열어보면 이해도 잘 되고 공부에 흥미도 생긴다.

시간이 부족하면 Auto Scaling까지만 들어도 된다.

 

 

2)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: www.aws.training/Details/Curriculum?id=32442

 

AWS training and certification

 

www.aws.training

Amazon에서 직접 제공하는 교육 영상이다. 

Amazon에서 직접 제공하는 교육인만큼 재밌진 않아도 한번 쭉 보는 걸 추천한다.

강의시간은 6시간 정도 되며 뒤에 각 강의마다 뒤에있는 실전연습영상들은 생략해도 된다.

또 각 강의마다 연습문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복습하기 좋다.

 

 

 

3) 한글백서 읽기: d1.awsstatic.com/whitepapers/ko_KR/aws-overview.pdf

AWS에서는 여러가지 한글 백서를 제공하는데 AWS Practioner은 백서 하나면 충분하다.

양은 많아보이지만 개념만 복습한다는 차원으로 1~2번 정독하는걸로 충분하다.

 

 

 

4) 덤프 문제 풀이: blog.naver.com/kroa/222224853064

 

AWS Practitioner 덤프 문제 풀이 (Amazon Web Service) ExamTopics 1-10Page

AWS Practitioner 자격증 시험 준비를 위해 덤프 문제를 풀어보려고 한다.우선 AZ-900으로 친숙했던 ...

blog.naver.com

덤프는 한 블로그를 참조했다.

체감상 시험과 매우 유사하게 출제됐으니 꼭 풀어보고 가길 바란다.

 

 

 

 

5. 시험후기:

종각역 솔데스크 학원에서 시험을 봤는데 시험장이 생각보다 작고 열악해서 당황했다.

신분 확인 및 소지품 검사 이후 시험장에 입실한 이후 시험을 치룬다.

30분 정도 걸렸고 시험 결과는 바로 나와서 좋았다.

그러나 시험비용 (12만원)에 비해서는 시험 난이도도 평이했고

이 때문에 자격 하나만으로는 전문성을 판단하기 어려울 것 같다.

이번년도 안에 다음 자격인 devops 또는 developer 자격을 공부해봐야겠다.